빙 AI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엔진입니다. 구글의 Bard와 마찬가지로 검색결과 기반으로 작용하는 채팅형 ai로, 답변에 대한 정확성과 관련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빙 ai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빙 AI 등장 배경
Bing AI는 GPT-4의 언어모델을 사용하는 Bing의 채팅봇 기능입니다. 2022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OpneAI의 챗지피티 대항마로 개발하여 선보인 채팅봇입니다. Edge브라우저에서 처음 선보였으며, 2023년부터는 Edge 모바일앱과 Skype앱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 빙 AI는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Bing과 대화하며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빙 AI 장점
- 웹 검색과 연동되어 있어서 사용자 질문에 대한 대답을 실시간으로 웹에서 정보를 가져와 대답을 해줍니다.
- 검색결과 반영한 관련 사이트 게시글의 링크를 첨부해 주는 장점이 있습니다.
- 음성으로 질문할 수 있기 때문에 직접 대화하듯이 사용이 가능합니다.
- 다양한 언어로 소통이 가능합니다. 따라서 한국어로 자유롭게 질문이 가능합니다.
빙 AI 단점
- 마이크로 소프트 엣지에서, 계정 로그인을 해야만 사용가능
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입니다. 저의 경우 크롬을 주 브라우저로, 사파리를 서브 브라우저로 사용하는 맥 유저이기 때문에 엣지 브라우저를 추가로 설치해야 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습니다. 새로 엣지 브라우저를 설치할 만큼 경쟁력 있는 채팅형 AI인가는 아래의 비교분석을 통해 평가해 보겠습니다.
- 대화 횟수와 세션 제한
시스템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한 세션에 10번의 대화, 하루에 120번의 세션만 가능합니다. 이전에는 더 많은 대화를 할 수 있었지만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한을 강화하게 되었습니다.
빙 AI, 챗지피티 비교 분석
챗지피티는 2021년 이전의 훈련 데이터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대답의 정확성과 관련성이 부족합니다. 그러나 빙 ai는 실시간 검색결과를 기반으로 대답하는 ai이기 때문에 답변의 정확성과 관련성이 가장 큰 강점입니다. 그러나, 챗지피티는 보다 창의적인 답변을 제공하고 있는데 반해 빙 AI는 짧은 응답을 제공합니다.
빙 AI, 바드 비교 분석
제가 직접 사용해 본 결과 빙과 바드의 차이점은 속도의 차이입니다. 같은 질문을 했을 때 빙, 바드 중에 바드의 대답속도가 확연히 빠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. 실시간 검색결과를 반영하는 채팅봇이지만, 바드는 속도가 빠르고 빙 AI는 대답에 관련한 링크들을 참고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는 차이점이 있었습니다.
함께 읽으면 좋은 글
궁극적으로는 어떤 ai가 더 나은지는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릅니다. 정확성이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면 마이크로소프트의 빙 ai를 추천드리고, 빠르고 정확한 대답을 원한다면 Bard, 다양성과 창의적인 대답을 원한다면 openAI의 챗지피티를 이용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 감사합니다.
'AI, NFT, METAVER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레드 트위터 비교, Thread 장점 단점 가입 사용 후기 (0) | 2023.07.11 |
---|---|
뤼튼 ai 사용법 Wrtn 스튜디오 사용 방법 장점 단점 (0) | 2023.06.30 |
구글 AI 인공 지능 바드, 챗 지피티 비교 분석 (0) | 2023.06.09 |
메타버스 대장 코인 관련 코인 (0) | 2023.03.04 |
AI주 관련주 기술주 전망 (0) | 2023.03.0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