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민원

만나이 계산기 2023 음력 만나이 계산법 자주하는 질문

by 메타고니 2023. 6. 29.

윤석열 정부 120대 국정과제로 2023년 6월 28일부터 적용된 만 나이 통일법은 우리 일상의 나이로 인한 혼란을 줄이고자 시행하게 되었습니다. 앞으로는 계약서, 법령, 조례 등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서류에 나이에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만 나이로 적용됩니다.

만나이 포스터
만 나이 계산법

 

만 나이 통일법

원래 대한민국에서 태어나면 태어나자마자 1살이 되었는데요, 이제는 태어나면 0살부터 시작되는 만나이 통일법이 적용됩니다. 만 나이는 출생일 기준 0살로 시작되어 생일이 지날 때마다 1살씩 더하는 방식으로 계산되는 법입니다. 즉, 원래는 1월 1일 떡국을 먹으며 한 살을 먹었던 예전과는 다르게 본인의 생일날 초를 불며 한 살을 더 하게 되는 방식입니다.

만나이 통일법 보러가기 배너
만나이 통일법

 

만 나이 계산기

이번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뺀 숫자가 현재 나이가 됩니다. 단,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한번더 1을 빼주시면 됩니다.

예를 들어 1991년생이라면 2023-1991=32살,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-1= 31로 31살이 됩니다. 혼자서 계산을 하기가 어려우시다면 아래의 만 나이 계산기를 활용하셔 보시길 바랍니다.

만나이 계산기 연결링크 배너
만나이 계산기

만 나이 어떻게 사용해야 하나?

같은 나이로 지내던 같은 학년의 동급생들은 나이가 달라질텐데 어떻게 호칭을 해야 하는지 어색해질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친구들끼리 사용하던 호칭을 다르게 부르기 위함이 아닌, 한 두 살 차이의 엄격함을 따지던 문화를 변화해 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
 

음력 만나이 계산

음력으로 생일을 지내시던 분들은 어떻게 계산을 해야 할지 헷갈리실 수 있습니다. 만 나이는 양력, 음력을 따지지 않고 주민등록상에 신고된 생일의 나이를 기준으로 하게 됩니다. 

 

만 나이 자주 묻는 질문

국민연금 기초연금 수령 시기나 정년퇴직 시기 등에 변화가 있을까요?

변화 없습니다. 이미 현행 법령에서 ‘만 나이’를 기준으로 규정된 사항들입니다.

초등학교 입학시기에 변화가 있을까요?

아니요, 종전과 동일하게 만 6세가 된 날이 속하는 해의 다음 해 3월 1일이 입학입니다.

 

여기까지 만나이 계산기 음력 만나이 계산법 자주하는 질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감사합니다.

댓글


다자녀 혜택 서울 전기차 보조금 인천 출산 지원금